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은 허리가 S자 형으로 휘어지는 척추의 변형으로 어깨의 높이가 달라 몸통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정면에서 봤을 때 머리와 골반은 정면을 보는 반면 양쪽 어깨의 높이가 다르고, 양쪽 유방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며, 숙이면 등 뒤에서 보기에 좌우 높낮이에 차이가 생겨, 척추가 휘어진 소견과 견갑골이 튀어나와서 척추는 비스듬히 옆을 보는 모양이 됩니다.
또한 옆구리 라인이 비대칭적으로 변하여 한쪽은 잘록하고, 다른 한 쪽은 밋밋해지는 소견을 보이게 됩니다.
척추 측만증은 약 80%가 특별한 발병 원인 없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후천적인 영향에 의해서도 발생하는데, 주로 안 좋은 자세 습관, 운동부족, 후천적인 영양 결핍 등이 원인으로 꼽히며, 자세가 바르지 못하거나 책가방을 한 쪽으로 매는 등의 생활습관, 골반 균형 이상 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척추측만증은 유전적인 소인이 있어 형제자매가 같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형이나 언니에게 측만증이 발견된 경우에는 동생에게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서 이런 경우에는 꼭 함께 검사를 해봐야 해서 측만증 발생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기능성 척추측만증 : 안 좋은 자세 습관, 근육 뭉침이나 단축, 다리 길이의 차이 등 구조적인 문제보다는 기능성으로 발생한 경우가 원인이 되어 척추측만을 일으키는 경우입니다.
장시간 앉아서 공부하는 청소년기에 많이 발생, 사무직, 직장인들에게 많이 발생
치료 : 정확한 진단 후 도수교정치료 등을 통해 치료가 가능
특발성 척추측만증 : 원인이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경우입니다. 발병 시기에 따라 유아기, 유소년기,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으로 구분되며,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이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측만증의 진행 여부 및 현재 각도, 잔여 성장 여부 검사 등을 종합하여 치료합니다.
치료 :
선천성 척추측만증 : 출생시 척추체가 비정상적인 형태로 발달하여 생기는 경우입니다. 척추체가 비대칭 형태를 취하거나 일부 척추체의 결손을 보이거나 부분적으로만 형성되어 척추 측만을 일으키는 경우입니다.
신경근육성 척추측만증 : 근육 이형성증, 이분척추, 뇌성마비, 신경섬유종증과 관련하여 척추 측만증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초기 측만증
중기 측만증
후기 측만증
병원 위치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