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연골연화증
관절 연골은 관절 내 골단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뼈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작용을 하고, 마찰없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관절내 연골 조직이 약해지거나 손상된것을 연골연화증이라고 합니다. 연골이 약해지는 부분이 점점 늘어날수록 연골이 갈라지거나 실타래처럼 벗겨져 나오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파괴된 연골이 완전히 마모되어서 슬개골 뒷면의 뼈가 노출되기도 하는데 이를 연골연화증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연골 연화증이 있다고 반드시 통증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현재는 슬개 대퇴 퇴행성 관절염의 전단계로 사료되고 있습니다. 연골연화증은 병리학적인 병명으로 현재는 슬개 동통 증후군 혹은 슬개 대퇴 동통 증후군이라는 병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릎을 심하게 부딪쳤거나 골절, 탈구와 같은 외상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고 외상이 없다 하더라도 갑자기 무리한 운동을 하거나 무릎을 과도하게 사용해서 발병되기도 합니다. 활동량이 많은 젊은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무릎 관절 앞부분(슬개골 뒤)의 둔한 통증입니다. 이 통증은 계단을 오르내릴 때 또는 한 자세로 오래 앉아 있을 때 더욱 심해집니다. 오래 앉아서 영화를 보거나 자동차 또는 비행기에 긴 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설 때 무릎의 통증과 함께 뻣뻣해진 것과 같이 느낄 수 있습니다. 무릎의 각도 이상으로 무릎이 구부러지거나 펴지지 않다가 갑자기 구부러지기도 합니다. 연골연화증에 의해 무릎을 움직일 때 딸깍하는 소리나 걸리적거리는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딸깍거리는 소리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연골이 손상된 것은 아닙니다.
자각증상과 신체검사, x-ray ,MRI 검사로 진단합니다.
증상을 악화시키는 쪼그려 앉거나 장시간 앉아있는 자세는 피하도록 합니다.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해 스트레칭이나 요가, 근력운동을 이용해 허벅지 근육의 앞과 뒤쪽 모두를 강화시켜주도록 합니다. 가벼운 연골연화증은 2∼3개월 정도 휴식을 취하고 꾸준한 운동을 통해 관절 주위의 근육들을 단련시켜 약해진 관절을 더 이상 상하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없고 슬개 대퇴관절의 모양이나 정렬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병원 위치 안내